Skip to Main Content
| Research Guides | 의학학술정보관 Subject Guides | 법학학술정보관 Subject Guides |

논문 투고 지원 서비스: 주의해야 할 학술지(Fake Journal)

연구논문 투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주는 가이드입니다.

개요

연구자들이 투고 학술지 선정 과정에서 사전에 약탈적 학술지(Fake Journal) 여부를 확인하여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정보원들에 대하여 안내해드립니다.

약탈적 학술지/가짜 학술지

  • 약탈적 학술지(Predatory Journal) / 가짜 학술지(Fake Journal) 이란?

약탈적 학술지란 연구자들에게 연구성과가 꼭 필요하다는 점을 악용하여 거짓된 정보로 연구자를 유혹, 정상적인 과학적 검증절차(Peer review)를 거치지 않고, 논문 투고료 등 금전적 이익을 노리는 학술지들을 말합니다.

 

부실학술지 유형
구분 특징
위조학술지(Hijacked Journals) 유명학술지와 유사한 학술지 이름을 사용하여 저자에게 혼동을 주는 학술지
약탈적 학술지(Predatory Journals) 돈만 지불하면 무조건 게재해주고 출판 윤리를 어기는 학술지
대량발행학술지 SCI나 Scopus 등에 등재되어 있으면서 학술지 한 호를 발행할때마다 대량으로 발행하여 출판 윤리를 어기는 학술지

 

  • 약탈적 학술지의 특징
  • SCIE, Scopus 등 유명 인용색인 DB에 등재되어 있으며 높은 인용 지수를 자랑한다고 주장하지만, 실제 해당 인용색인 DB에서 등재 여부와 인용 지수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 불특정 다수의 연구자에게 E-mail을 통해 논문 투고 요청(Call for Papers)을 요청하며, 대체로 빠른 심사 시간과 높은 게재율을 약속합니다.
  • 동료 심사(Peer Review) 절차가 아예 없거나 유명무실하여, 질이 낮은 논문, 가짜 논문도 출판합니다.
  • 이전에 출판된 논문들의 목록을 제공하지 않거나,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 논문 심사료, 투고료 등 심사‧출판 과정에 소요 되는 비용을 사전에 밝히지 않습니다.
  • 저명한 학술지의 이름, 디자인, 상표 등을 도용하여 연구자들을 착각하게 합니다.
  • ISSN, 출판사 주소, 편집위원 명단 등 학술지의 일반적인 정보들을 웹사이트에 공개하지 않습니다.
  • 학술지의 목적, 주제 범위(Scope)가 모호하고 주제에 맞지 않는 논문도 출판합니다.

 

약탈적 학술지 피해 예방을 위한 참고사이트

담당사서(Librarian)

사서  손 지 혜

  02-2220-1362

  jhsohn@hanyang.ac.kr

Copyright(C) 2021 HANY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