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Hanyang University Paiknam Library)
| Subject Guides | 의학 Subject Guides | 법학 Subject Guides |

Research Guides

연구자 ID

  • http://www.researcherid.com (무료 가입 - Web of Science, EndNote 사용 계정과 연결)
  • Clarivate Analytics 에서 2008년부터 제공하는 연구자별 고유 식별자 부여 시스템 
  • 연구자가 자신의 출판물 목록을 관리, 인용 횟수 및 H-index 색인 추적 등 연구 성과 관리 및 홍보
  • 고유 식별 번호를 통해 이름 검색의 모호성 때문에 발생하는 각종 문제를 해결
  • ResearcherID 정보는 Web of Science 와 연동되며, ORCID 와의 연계 지원 (필드 검색 지원, 개별 논문 상세 페이지에서 저자 번호 확인 가능)
  • 개인별/기관별/분야별/지역별 연구자 검색, 우수 연구자의 성과 추적, 공동 연구자 탐색 등 연구자를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활동 가능

* ResearcherID 사용 장점

  • 동명이인, 유사한 연구자(저자) 이름, 각종 사유로 이름이 변경된 저자, 표기법의 차이, 일관적이지 않은 저자 이름의 사용에 따른 어려움 해소
  • 연구자가 발표한 저널 기사, 특허, 회의, 보조금 등의 목록을 추가
  • 연구자 검색 및 연구 결과 검색과 활용을 위한 디지털 이력서의 기능 및  Web of Science 검색 결과에 연동
  • 연구자 인지도 향상 및 홍보 
  • https://orcid.org (무료, 한국어 플랫폼 사용 가능)
  • ORCID, Inc. (비영리기관)에서 2012년부터 제공하는 연구자의 고유 식별자 레지스트리를 생성하여 관리하고 연구활동과 결과물을 연결시키는 도구 (다른 식별자가 있다면 연결: Scopus, ResearcherID, LinkedIn)
  • 연구자가 자신들의 데이터세트, 설비, 논문, 언론자료, 서지사항, 실험, 특허 및 노트 등 연구 활동물과 결과물을 등록하고 관리, 홍보 가능
  • 연구이력 관리, 원고 제출, 연구비 신청, 특허 출원 등에 있어 연구자와 연구를 연결하는 허브로 활용
  • ORCID를 검색하여 해당 연구자가 직접 등록한 프로필 및 연구 결과물을 확인

ORCID 사용 장점

  • 동명이인, 유사한 연구자(저자) 이름, 각종 사유로 이름이 변경된 저자, 표기법의 차이, 일관적이지 않은 저자 이름의 사용에 따른 어려움 해소
  • 연구자 검색 및 연구 결과 검색과 활용을 위한 디지털 이력서의 기능을 함
  • 정식 출판되지 않은 여러 활동을 반영하여 기록으로 남길 수 있음
  • 연구자 인지도 향상 및 홍보에 활용

* Author ID

  • Scopus는 Scopus에 등재한 논문의 각 저자에 자동으로 부여되는 고유 식별번호를 할당하고 해당 저자가 작성한 모든 문서를 그룹화함
  • 저자가 직접 연구 정보를 등록하는 방식이 아닌, Scopus 자체에서 Author Identifier를 사용하여 저자이름과 일치하는 알고리즘을 사용
    • 기관, 주제 분야, 지역, 학술지, 출판일, 인용 정보, 공저자 정보를 근거로 올바른 저자를 확인하고 저자를 식별화
  • 저자의 상세 정보를 확인 : 이형 저자명, 출판 논문 정보 및 인용 정보, 공저자, 저자 이력, 저자 연구력 분석(H-index, Output) 등 확인
  • 관심 저자의 경우 저자 Follow, alert 설정 가능

 

* Scopus Author Profile Feedback Wizard

  • Scopus에 포함된 저자 프로필을 저자 본인이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이용자 편의형 플랫폼
  • 아래의 과정에 따라 본인의 연구논문을 누락없이 본인의 AuthorID와 연계할 수 있음

  • 개인 프로필 확인: 개별 검색결과 저자정보에 하이퍼링크 생성
  • 기관 사용자 검색: 기관명 조회 후 기관 사용자 목록으로 이동
  • 인용횟수, H-index, 공동연구자 등 지표 및 연구 현황 확인
  • 개인 프로필 생성: 로그인 후 논문 검색 통해 연구자 연구 성과 List up
  • http://www.kci.go.kr
  • 2004년 이후의 논문에 대한 피인용현황(총 피인용횟수 및 H지수)을 제공 (개인 로그인 후 이용 가능)
  • 데이터 범위: 2004년부터 현재까지 발행된 재단등재학술지 논문(등재후보학술지 포함)

  • 연구자의 연구 성과(연구력)을 평가하는 지표
  • UCSD(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의 물리학자인 J. E. Hirsch에 의해 제안되어 H-index라 불림
  • 연구자가 발표한 논문 중에서 논문 h개가 적어도 각각 h개 이상의 인용을 받고, 나머지 논문이 h개와 같거나 적은 인용을 받을 때의 값이 h가 됨
    • 연구자의 발표 논문을 피인용수 기준으로 내림차순하여 순위를 매김
    • 순위가 피인용수와 같거나 피인용수보다 작아질 때의 최대값으로 h-index 산출
    • 횟수(순위) = 피인용횟수 // 또는 //  횟수(순위) < 피인용횟수가 되기 전의 횟수의 최대값

(src: 한국연구재단 인용지수 설명 https://www.kci.go.kr/kciportal/po/citationindex/explanation.kci)

* H-index 확인

  • Web of  science, Scopus, Google profile, KCI 등의 플랫폼에서 저자의 H-index 정보를 제공
  • 단, 대상 저널 및 논문수는 데이터베이스 수록 저널을 대상으로 계산하므로 동일 연구자에 대한 H-index 값은 플랫폼마다 다를 수 있음을 유념

* H-index 장점

  • 단순히 출판한 논문의 수 또는 피인용횟수 단일 지표만으로는 연구자의 영향력을 판단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보완
  • 특정 연구자가 발표한 논문과 논문별 피인용수를 모두 고려하는 산출법을 적용
  • 때문에, 영향력 높은 연구 논문을 많이 출판하는 연구 성과를 근거로 연구력을 측정하여 보다 객관적인 평가가

 

Copyright(C) 2021 HANY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